<구글 웹사이트 등록-> 농식품바우처 2025년 대상자(중위소득 32% ) 신청방법 사용방법 농식푸바우처카드 플랫폼 foodvoucher.go.kr 까지
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 정보

농식품바우처 2025년 대상자(중위소득 32% ) 신청방법 사용방법 농식푸바우처카드 플랫폼 foodvoucher.go.kr 까지

by 기림성 2025. 9. 9.
반응형

정부의 먹거리 복지 정책인 '농식품바우처'가 2025년부터 본사업으로 전환되며 지원 규모를 대폭 확대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정책의 핵심인 ‘기준 중위소득 32%'의 의미와 함께, 실제 수혜자가 가장 궁금해할 신청 및 사용 방법까지 상세히 안내해 드립니다.

농식품바우처 2025년 대상자(중위소득 32% ) 신청방법 사용방법 농식푸바우처카드 플랫폼 foodvoucher.go.kr 까지
농식품바우처 2025년 대상 및 신청방법 사용방법

1. 정책의 기준, '중위소득'이란 무엇인가?

농식품바우처의 자격 기준이 되는 '기준 중위소득 32%'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중위소득의 개념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중위소득 정의:

모든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하는 가구의 소득입니다. 이는 평균 소득이 극단적인 값에 의해 왜곡되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10가구 중 5번째와 6번째 가구의 소득이 각각 300만 원, 400만 원일 경우, 중위소득은 (300 + 400) / 2 = 350만 원이 됩니다.

기준 중위소득:

정부가 매년 발표하는 공식적인 수치입니다.

-      2024년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5,729,913원

-      2025년 인상률: 6.42%

-      2025년 기준 중위소득 계산: 5,729,913원 × (1 + 0.0642) ≈ 6,097,773원

-      생계급여 기준은 바로 이 기준 중위소득의 32% 이하 가구입니다. 즉, 2025년 4인 가구 생계급여 기준액은 6,097,773원 × 0.32 ≈ 1,951,287원이 됩니다. 농식품바우처 역시 이 기준을 따라서 4인가구 소득이 195만원 이하인 가구가 대상이 됩니다.

 2. 2025년 본사업 주요 내용

5년간의 시범사업을 거쳐 2025년 3월 4일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됩니다.

지원 대상: 기준 중위소득 32% 이하 가구.

지원 규모: 월 10만 원씩 10개월간, 총 100만 원이 지원됩니다. 기존 월 4만원 총액 48만원에서 100만원으로 대폭 인상되었습니다.

 3. 농식품바우처 신청 및 사용 가이드

1) 신청 방법:

온라인: 농식품바우처 공식 플랫폼 foodvoucher.go.kr 또는 복지포털 '복지로'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방문: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 직접 방문하여 신청서를 작성합니다.

2) 사용 방법:

바우처 카드 발급: 신청이 승인되면 주민센터에서 전용 카드를 수령합니다.

사용처: 농협 하나로마트 등 지정된 매장. 상세한 목록은 foodvoucher.go.kr에서 제공됩니다.

사용 품목: 과일, 채소, 곡류, 우유, 계란, 식용유, 잼류 등 건강한 국산 농식품으로 품목이 한정됩니다.

잔액 소멸: 매달 충전되는 금액은 해당 월에만 유효하며, 다음 달로 이월되지 않으니 기한 내에 사용해야 합니다.

 

농식품바우처는 취약계층의 복지를 증진하고, 동시에 우리 농업을 활성화하는 상생의 모델입니다. 보다 상세한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 foodvoucher.go.kr를 통해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