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도시 구조를 혁신할 프로젝트, 경부고속도로 지하화 사업에 대한 분석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사업과 서울시 사업의 연관성을 파헤쳐보고, 두 기관의 협력을 통해 수도권 광역 교통망 개선과 매력적인 도심 공간 조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을지 전망해 보겠습니다.
1. 국토교통부 사업: 수도권 광역 교통망 개선에 방점
국토교통부는 경부고속도로 지하화를 통해 수도권 광역 교통망의 획기적인 개선을 최우선 목표로 설정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대심도 지하고속도로 건설 (고양 ~ 양재): 수도권 북부-남부 연결
기존 경부고속도로 하부에 지하 50m 이하의 대심도 터널을 건설하여 수도권 남부(수원 등)와 북부(고양 등)를 효율적으로 연결하는 광역 도로망을 구축합니다. 특히 고양 ~ 양재 구간의 지하고속도로 사업은 이미 민자 적격성 조사를 통과하여 2027년 착공을 목표로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을 통해 서울 도심을 통과하는 교통량을 분산시키고, 수도권 광역 교통 흐름 전반을 개선할 계획입니다. 아래 그림의 초록색 부분.
2) 경부고속도로 지하화 (양재 ~ 기흥): 수도권 남부 교통 정체 완화
양재에서 기흥에 이르는 경부고속도로 구간을 지하화하는 사업도 추진 중입니다. 이는 수도권 남부 주요 도시들의 연결성을 강화하고, 해당 지역의 만성적인 교통 정체를 해소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기흥 ~ 양재 구간의 경부고속도로 지하화는 기존 지상 도로를 유지한 채, 그 아래 별도의 지하고속도로를 건설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는 기존의 지상 경부고속도로를 지하로 옮기는 것이 아니라, 지하에 새로운 고속도로 터널을 건설하여 교통 용량을 증대시키고 지상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도모하기 위함입니다. 참고로 서울 구간(양재IC ~ 한남IC)의 지하화 계획은 지상에 공원 등을 조성하고 지하에 터널을 건설하는 방식이라 기흥-양재 구간과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지하화 vs 지하고속도로 건설: 명확한 개념 차이
경부고속도로 지하화는 기존의 지상 고속도로를 지하로 옮기는 모든 행위를 포괄하는 넓은 개념입니다. 이는 단순한 도로의 지하 건설뿐만 아니라, 지상 공간 활용 계획까지 포함합니다.
반면, 지하고속도로 건설은 지하에 고속도로 기능을 수행하는 새로운 도로를 건설하는 특정 형태의 지하화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기존 도로의 기능은 유지하거나 일부 조정하면서, 추가적인 교통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대심도 등에 건설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광역 도로망 개선: 새로운 한강 횡단 축 조성
새로운 한강 횡단 교통축을 조성하여 수도권 도심의 고질적인 교통 혼잡을 완화하는 것 또한 국토교통부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입니다.
요약하자면, 국토교통부는 대심도 지하고속도로 건설과 양재-기흥 구간의 지하화를 통해 수도권 전체의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서울 도심 및 수도권 남부의 교통 부담을 경감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2. 서울시 사업: 도심 재생과 시민 중심 공간 조성
반면, 서울시는 경부고속도로 지하화와 함께 확보되는 지상부 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도심을 재생하고 시민들의 편의를 증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s://m.site.naver.com/1I8kC
서울 도심 교통 혁신, 경부고속도로 지하화 프로젝트
서울의 대표적인 교통 정체 구간인 경부고속도로 한남~양재 구간이 지하화를 통한 대대적인 변화를 앞두고 있다.서울시는 교통 문제 해결을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인 경부고속도로 지하화를 추
tipdepo.com
1) 한남 ~ 양재 구간 동서 상하행 지하도로 건설: 도심 교통 흐름 효율화
동서 방향으로 상행선과 하행선 지하도로를 건설하여 승용차 흐름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특히 교통 체증이 심한 양재 ~ 신사역 구간의 교통량을 분산시키고자 합니다. 위의 그림의 초록색 국토부 사업의 양옆 동서 방향의 붉은색 부분.
2) 서울 리니어 파크 조성 (지상부 공간 활용): 녹색 네트워크 구축
경부고속도로 지하화 이후 남겨지는 지상 도로를 생활 도로로 전환하고, 이 공간에 공원, 보행로, 상업 공간 등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도심을 길게 가로지르는 **선형 공원(리니어 파크)**을 조성하여 반포에서 서초 일대의 보행 접근성을 높이고, 시민들에게 쾌적한 녹지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3) 고속버스터미널 복합 개발: 강남 도심 기능 강화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지하화와 그 상부 공간을 복합적으로 개발하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강남터미널 인근의 고가도로 철거 논의와 연계하여 이 지역 일대를 새로운 도심 공간으로 재구성하는 프로젝트를 함께 추진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서울시는 지하화를 통해 확보되는 지상 공간을 활용하여 시민들에게 쾌적한 녹지 공간과 편리한 생활 인프라를 제공하고, 강남 지역의 도시 기능을 한층 더 발전시키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3. 국토부와 서울시, 핵심 차이점과 시너지 효과 창출의 기대
- 국토교통부: 광역 교통망 개선을 위한 지하고속도로 건설 (고양 ~ 양재) 및 수도권 남부 교통 개선을 위한 지하고속도로 건설 (양재 ~ 기흥) 추진
- 서울시: 도심 내 지하화 (한남 ~ 양재) 및 지상부 개발을 통한 도시 구조 개편에 중점
이처럼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는 각기 다른 목표와 구간을 중심으로 경부고속도로 지하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두 기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강력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야 합니다.
국토교통부의 광역 교통망 개선 사업은 서울시의 도심 재생 사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것이며, 서울시의 매력적인 도심 공간 조성은 국토교통부의 광역 교통망 개선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미래를 향한 기대
경부고속도로 지하화 사업은 단순한 도로 건설을 넘어 서울과 수도권의 미래를 새롭게 디자인하는 중요한 발걸음입니다. 국토교통부와 서울시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이 거대한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추진되어, 서울과 수도권이 더욱 살기 좋고 경쟁력 있는 공간으로 발전해 나가기를 바랍니다.
'일상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예방을 위한 고혈압 잡기, 혈압 낮추는 방법 (1) | 2025.04.23 |
---|---|
2025년 KBO 프로야구 마케팅 열풍, 식품업계부터 유통까지 달군다! (1) | 2025.04.22 |
2025대구 청라수 & 서울 아리수 수돗물 지원사업 완벽 가이드 (0) | 2025.04.10 |
국내 항공사별 일본 및 기타 국가 소도시 노선 정리 (1) | 2025.04.06 |
중고폰 시장에 뛰어든 삼성전자, 그리고 중고폰 거래의 모든 것 (0) | 2025.04.04 |